필리핀어학연수-우리어학원(We Academy)

장학금, 맞춤 취업컨설팅 … 청춘의 걱정 덜어주는 캠퍼스가 뜬다 본문

자유게시판

장학금, 맞춤 취업컨설팅 … 청춘의 걱정 덜어주는 캠퍼스가 뜬다

weacademy 2012. 4. 19. 14:38

대학들, 학생 복지제도 경쟁


대학의 복지 프로그램이 진화하고 있다. 대학마다 졸업을 앞둔 대학 4학년생들의 취업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모의면접을 비롯해 입사지원서 첨삭 등의 실질적인 취업 준비 프로그램들을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저학년부터 진로 설계를 할 수 있게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중이다. 장학제도의 종류와 규모도 커지고 있다. 성적 우수학생뿐 아니라 도우미, 봉사 같은 활동을 해도 장학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학 졸업반이 됐지만 취업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엄두가 나지 않았어요. 학교 취업캠프에 참가하지 않았다면 취업 재수생이 됐을 거예요.” 안성현(25·서강대 경영학과 졸업)씨는 올해 기아자동차에 입사해 얼마 전 수습 딱지를 뗐다. 양복 깃에 단 회사 배지를 볼 때마다 취업 지원을 할 수 있게끔 기회를 마련해 준 학교가 고맙기만 하다.

 4학년 1학기 때 막상 취업 준비를 하려니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몰라 막막했다. 취업한 선배가 학교에서 여는 취업캠프에 참가하면 도움을 될 거라고 조언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참가 신청을 했다. 캠프는 일주일동안 진행됐다. 입사지원서 쓰는 방법부터 모의면접, 직무교육까지 취업을 위한 실질적인 내용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이 가운데 안씨는 모의면접의 도움이 컸다고 했다. 2박3일동안 합숙을 하며 심층·인성·영어 등의 면접 기술을 익히고 면접 매너, 옷차림 등의 코칭도 받았다. 프로그램에는 기업 면접 전문가들이 초빙되고 면접장도 실제 현장처럼 꾸며져 긴장감이 돌았다고 한다. 안씨는 “캠프를 통해 구직활동을 하며 부딪히게 되는 여러 요소들을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배우고 훈련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2학기부터 본격적인 취업 준비에 들어간 안씨는 수업 시간을 제외하고는 학교 내 ‘잡카페’에서 살다시피 했다. 그곳에는 취업 준비생에게 필수품인 경제신문은 물론, 각종 취업 관련 서적과 자료들이 있다. 지원을 앞두고는 취업지원팀의 도움이 컸다. 정기·수시 상담을 하며 자기소개서를 고쳐나갔다. 덕분에 안씨는 기아자동차 외에도 여러 곳에 합격을 했다. 그는 “취업캠프 참가자들의 취업률이 학교 전체 취업률보다 10~15% 정도 높은 것으로 안다”며 “이런 프로그램을 통해 자신의 강점과 역량을 발견하고 채용 때 이를 효과적으로 알리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후배들이 학교의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원하는 길을 가는데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성신여대 김혜민(21·심리학과 4·사진)씨는 대학을 다니며 5000여 만원의 혜택을 보고 있다. 입학 때 수정장학생에 선정돼 입학금과 4년 등록금, 매달 학업보조금 20만원, 해외연수비, 영어 집중교육비 등의 지원을 받고 있다. 이 학교 신입생 2200~2400명 중 10%(2011학년도 기준)가 김씨처럼 4년 장학금을 받고 있다. “주위 친구들은 학비 때문에 아르바이트를 많이 해요. 하지만 저는 장학금을 받아 학비 부담이 줄어든 만큼 학업에 전념할 수 있어 안정적이에요.”

 지난 여름방학에 김씨는 6주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주립대(UCLA)로 단기 연수를 다녀왔다. 4년 장학생에게 주는 혜택으로 재학기간 중 원하는 나라의 기관으로 해외 연수를 갈 수 있다. 학교와 교류중인 곳으로 갈 경우 학점 인정 같은 혜택도 늘어난다. 국제정예요원의 혜택도 있다. 원어민 강사에게 어학을 집중적으로 배울 기회를 주는 것이다. “다른 친구들은 영어 학원을 다니며 공부하지만 저는 시간만 맞으면 학교에서 무료로 수업을 들을 수 있었어요.”

 김씨가 성신여대를 선택한 것도 이 학교의 장학제도가 한몫했다. 심리학을 깊이있게 공부하려면 학비 부담이 커서다. “학부 때 장학금을 받아 금전적 부담을 더는 대신 앞으로 공부를 더 할 때 투자를 할 수 있게 됐어요.” 김씨는 학업보조금으로 매달 받는 20만원을 미래를 위해 고스란히 모아두었다. 그는 후배들에게 “자신의 성적이나 학교만 고려해 대학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찌감치 진로를 설계하고 장기적인 안목에서 장학금과 같은 각종 복지 혜택을 잘 살펴본 후 대학을 선택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발췌 : 중앙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