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어학연수-우리어학원(We Academy)

[IELTS(아이엘츠)비법] IELTS(아이엘츠)시험 진행 방식과 고득점 요령 본문

영작코너

[IELTS(아이엘츠)비법] IELTS(아이엘츠)시험 진행 방식과 고득점 요령

weacademy 2009. 9. 4. 09:47

[IELTS(아이엘츠)비법] IELTS(아이엘츠)시험 진행 방식과 고득점 요령

 

IELTS(아이엘츠)시험 진행 방식과 고득점 요령

IELTS Listening
<
시험진행방식>

리스닝 테스트는 9:30~10:10까지 진행됩니다. 그리고 리스닝은 4 부분(4 sections)으로 이루어져 있고 뒤로 갈수록 문제가 어려워 집니다. 그리고 한 문제에 하나씩 녹음된 내용을 들려 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문제를 한꺼번에 들려줍니다. 답안을 작성할 답안지를 받고 리스닝 문제를 받은 후 녹음된 리스닝 내용이 나올 때까지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실제 시험이 시작되기를 기다립니다. 아카데믹 모듈 응시자와 제너럴 트레이닝 모듈 응시자가 같은 내용의 리스닝 테스트를 치루게 됩니다. [gohackers 아이엘츠 길라잡이]



< IELTS Listening  
리스닝 고득점 요령>
1.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문제를 미리 읽자

IELTS Listening
테스트에서는 문제를 풀고 답을 답안에 적는 요령을 실제 내용이 나오기 전에 항상 들려 줍니다. 문제 유형을 보고 이미 익숙한 문제 유형일 경우 빨리 문제 자체를 읽고 듣기의 내용을 추측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것입니다. Ielts 리스닝은 문제를 파악하여 어떤 내용을 들어야 할지 미리 알고 있으면 매우 효과적으로 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시험 시작 후 매번 지시 사항을 읽어 주는 시간이나 실제 내용이 나오기 전과 후의 30초를 잘 활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시간 활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의하여야 할 것은 문제 유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답을 작성하는데 커다란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답 작성 요령을 명확하게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다른 생각은 금물!!! 리스닝에 집중하라.

녹음 내용을 들을 때에는 숨도 쉬지 않을 정도로 집중해야 합니다. 필요 없는 잡생각은 치명적입니다. 그리고 일단 답을 정하고 나면 그 문제는 잊어 버리고 지금 현재 듣고 있는 내용과 문제에만 집중하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여기서 또 하나 중요한 것은 IELTS Listening  테이프가 플레이 되고 있는 동안에는 문제지에 나온 문제를 쳐다보고 답을 기다리고 있기 보다는 리스닝 자체에 더욱 더 집중해야 합니다. 일단 미리 문제에서 얻은 여러 가지 힌트를 바탕으로 실제 듣기 내용을 열심히, 잘 듣는다면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 입니다.

3.
답안지 작성에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

IELTS Listening
이 진행되는 30분 동안 답안지를 작성하느라고 시간을 보내서는 절대로 안됩니다. 실제 녹음된 리스닝이 끝나고 나서 답안지를 작성할 수 있는 10분간의 시간이 주어 집니다.10분 동안 모든 것을 고려하면서 답을 작성할 충분한 시간이 있기 때문에 실제 리스닝이 진행되는 동안은 문제를 읽고 내용을 듣고 이해하는 것에 집중해야 합니다.

4.
어려운 문제에 시간을 낭비하지 마라.

많은 초보자들은 긴장한 나머지 모든 문제에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합니다. 해결할 수 있는 문제와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빨리 구별하고 가능한 문제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어려운 문제에 매달려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면 풀 수 있는 문제에서도 당황하게 되고 결국에는 모든 것을 잃게 됩니다.

5. Section 1
Section 2에서 만점을 받도록 하자.

IELTS Listenin
서 만점을 목표로 하는 응시생이 아니라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점수 목표를 정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5.0~6.0 이상을 받기 위해서는 section1section2에서 점수를 잃어서도 안됩니다. Section1/2는 우리 사회와 밀접하고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주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듣기 내용에 접근할 수 있을 것입니다.

6.
그림이나 도표를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자.

그림이나 도표가 나왔을 때 그림을 이해하고 어떤 순서로 그림을 읽어 나가야 하는지 아는 것이 첫 번째 일입니다. 그림을 정확하게 이해했을 때 필요 없는 혼란스러움을 막을 수 있습니다

드디어 아이엘츠 비법 전수/ IELTS 비법전수!!!

이제 어떻게 시험을 치는지 알았다면…!!!!  가장 큰 관문!!!

[IELTS  리딩 비법 추가] 다른 시험에는 없는 T,F,NG의 비법!!!

[gohackers 아이엘츠비법자료]

물론 원어민처럼 지문을 100% 이해하고 문제를 푼다면 그리 어려운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우리는 불행히도 생각과 개념이 다른 이방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생각하기에 분명 지문에 없는 내용이라 생각하여 NG를 썼는데 답은 F입니다 ㅠ.

그래서 이부분 때문에 엄펑 해맸는데 해커스 학원 배운 노하우 정리해서 올려드려요

단 시간내로 어떻게 이 NGF를 구별할 수 있을까?
최소 한 시험에서 최소 3문제 이상은 아리송한데.... 3문제...정말 1점이 왔다갔다 합니다~


1.
전체적으로 90%F , 10%NG이다

-> 그래서 모르면 F로 찍으라고들 합니다 ㅎㅎ 근데 사람 심정이 어디 그런가요 ^^

2. F
가 답일 3 대 확률

-
문제에서 물어보는 지문에 해당되는 부분에
      1) only, all, most,
형용사의 비교급, 최상급이 있거나
      2) somewhere, some
이 있는 경우
      3)
제목 안이 always, usually (대부분이나 일반적인 단어가 나오면)가 나오면
    -->  F
를 선택한다 .  ㅎㅎ

3 . NG
가 답일 경우

      1) 시간관련 물어볼 경우
      2)
의문문이 나오나 답은 나오지 않는다


4.
지문 중에 it is predicted(excepted,anticipated)that 또는

질문 속에 real, truth, fact 에 있다                                                    
    -->
거의  F의 상황이다!

5.
지문 중에 조건문 관련 문장이 있다.
    - if(provided that), but for(except for)
    -  if not(unless),but that(except that)


    
아니면, 조건을 나타내는 명사구나 형용사 구가 있거나 질문 중에 어떤 조건을 묻는다

    -->
이런 것들이 모두 F이다

6.  
지문 중에 어떤 사물 혹은 그 사물의 상태가 나와 있고, 질문 중에도 그 사물 혹은 그 사물의 상태만 나와 있다면

 

--> 이것이 NG이다

7.  
지문 중에 복종 및 약속, 맹세 등의 동작 및 상태가 나오면

 

--> 이것이 NG이다

 

 

요렇게 준비했다면!!!!  6.5 문제 없다!!!
경험담을 토대로 만들어간 아이엘츠 오버롤 6.5 쫘짠!!

[gohackers 아이엘츠비법자료]

1. Module : Academic                                                                      2. 공부목적 : 영국 유학 (MA)                                                               3. 목표했던 점수 : overall 6.5                                                                            4. 받은 점수 : overall 6.5                                                                   5. 공부 기간 : 6개월                                                                             6. 시험 횟수 : 2                                                                                         7. 합격 수기 및 공부 방법 :

리딩 : 6.5

아시겠지만, IELTSL 아카테믹 리딩은 토픽 자체가 낯설고 어렵습니다.

대학교때 전공서적이나 회사에서 일할때 보는 서류들은 분야가 익숙하니까 쉽게 읽혀지는데,

시험에 나오는 리딩은 절대~ 아니죠.

특히, 가장 쥐약은 행성, 우주, 동물, 의학, 각종 역사...으으윽...

여기 매일매일 리딩 자료나 기존에 나왔던 문제들을 많이 많이 읽어보세요

그리고 단어 찾아서 외우진 못하더라도 익숙해지기만 하면 비슷한 문제 나와도 해석이 됩니다.

본인이 약하다고 생각되는 분야의 글들을 보다 집중적으로 읽어보세요...힘들지만...

정말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챔프스터디에서 하는 아이엘츠 기출강의 들으면서 정리했습니다.

리스닝 : 6.5

리스닝 족보 보기는 저같은 직딩에 가정생활도 해야하는 사람은 쫌 어렵습니다. 그래서 그냥 실전 문제집 (캠브리지, 마스터, IDP에서 나온 초록색 책)을 많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시험장에서 가장 고민되는 것은 스펠링입니다.

들은 거 같기는 한데, 스펠링이 맞는 것인지, 복수였나 단수였나, 하여간 모든게 헷갈립니다. 그니까, 쉬운 말도 많이 써봐서 손에 익는 것이 중요한 거 같아요. 그리고 저는 챔프스터디에서 하는 아이엘츠 기출강의 들으면서 정리했습니다.

 

스피킹 : 6

제가 6점을 받은게 아직도 미스테리합니다. 왜냐면 지난번이랑 비슷한 수준이었던거 같은데,그땐 5점이었거든요...

그래서 곰곰 생각해보니, 그때와 지금이 다른 것은...그때는 section 3에 대한 대비가 전혀 없어서...완전 당황이었는데, 이번에는 나름대로 section 2의 혼자 2분 말하기가 끝나면 이 사람이 이런 질문을 할거 같다고 생각했던 것이 주효했던 거 같아요.

section2의 토픽 말하기 준비하시면서 반드시 section 3의 연관 질문에 대해서도 고민하세요. 그게 해법인 듯싶습니다. 그리고 저는 챔프스터디에서 하는 아이엘츠 4.5.6 기출강의 들으면서 마무리 했습니다 [gohackers 아이엘츠비법자료]

 

 

롸이팅 : 6

첨엔 진짜 머리에 쥐가 날 정도로 막막했었는데, 포맷을 외우고 익숙하게 되면, 그나마 편안합니다.

저는 솔직히 스피킹보다는 롸이팅이 좀 나았어요. 시간이 촉박하긴 하지만 롸이팅은 지우개가 있으니까요.롸이팅은 포맷을 외우는게 제일 중요합니다. 서론, 본론, 결론에 각각 나만의 포맷을 만들고 외워서

토픽에 따라 단어만 달리 가져가는 방법...그게 최선이라고 봅니다....그리고 writing 8점짜리 예문들...그거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 반드시 읽어보시고, 똑같은 토픽으로 본인이 한 번 써보시고, 비교해주시면 진짜 도움 많이 되는거 같아요.

그리고 챔프스터디에서 하는 아이엘츠 기출강의 들으면서 마지막으로 마무리했어요.

 

참고: IELTS 라이팅 만점받은 Essay

 

[IELTS 라이팅 만점받은 question]

 

Q: It is right that college graduates earn higher salaries than the less well-educated in the community. But they should also pay the full cost of their study. Do you agree or disagree with this statement? [IELTS 라이팅 만점받은 Essay]

 

 

 

 

 

[IELTS 라이팅 만점받은 Essay answer]

 

Some conclude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bear total expenses for their higher education on the generalization that college graduates usually receive higher salaries for similar jobs than those without a college degree. We can not deny the fact that higher level of education, indeed, do associate with better income. Still, build on such fact alone, the conclusion remains questionable when more aspec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whole argument in question rests on an assumption that it is always the case that people with higher education make more money than those less well-educated. But salary or income is, in most cases, based on contributions made by employees to companies or organizations in which they are employed. Statistics in the labor market indicate that people with professional training tend to find jobs easier than college graduates do and that blue-collar workers who do not hold college degrees are becoming the hotties in the labor market. Employers prefer to hire and pay more to highly skilled and specially trained people rather than fresh college graduates. In the auto industry, for instance, skilled technicians make two or three times more than their college educated counterparts who make the average salaries in other companies. And it is widely accepted that people's income is determined more by talent, hard work, and willingness to take risks than solely by certain qualifications such as college education. Otherwise, the unemplo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would not be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rule of supply and demand will lose much of power in controlling the labor market. Admittedly in some knowledge extensive field such as research, teaching, and practice of law the labor force are primarily consists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But such people make up only a fraction of the labor market and are thus unrepresentative of the whole employment in general.

 

Considering the goal of education, we find that it is even more problematic for the country to throw all the responsibility of financing college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The goal of higher education of a nation i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general level of intellectual and professional capacity of its labor force, thereby increasing the competency of the nation in the global economy. As tax payers, parents all contributes to the education system and country in various ways. It is only reasonable and necessary that the country gives some forms of financially assistance to students to ease the burden of rising education costs. Such help should go to not only students from needy or impoverished families but also outstanding students from affluent backgrounds. Doing so can significantly boost the motivation of children from millions of families to engage in higher level of study.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general quality of people in a country will improve and its economy will benefit both now and in years to follow.

 

If the burden of supporting children's higher education is dumped on parents and students, thousands of brilliant students will be deprived of chances to pursue their academic inspiration. Among those who suffer would definitely be future great scientists, business managers, artists and statesmen. The loss will be disastrous and irreversible.

 

 

 

In conclusion, the idea that students should also pay the full cost of their study is wrong and harmful because it is wrong to assume that higher education necessarily equalize high income. Moreover, it is in the best interest of a nation to take responsibility in financing college education so that the goal of higher education will be better met.

'영작코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엘츠 시험 요령(경험)  (0) 2009.11.13
Ibt 토플 단어  (0) 2009.09.04
토익 문법 질문  (0) 2008.07.29
토플 단어 어근어간 정리  (0) 2008.07.11
[표현] Did you get up on the wrong side of the bed..  (0) 2008.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