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어학연수-우리어학원(We Academy)

필리핀이란 나라 본문

자유게시판

필리핀이란 나라

weacademy 2007. 10. 28. 15:53
지리

필리핀은 7107개의 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넓이는 299,764 sq. km 이다. 가장 큰 섬은 루손 섬이며 그 곳에 수도마닐라가 있다.

 

 시간

GMT+8이다. 한국보다 1시간 느리다.

 

 행정 구역

이 부분의 본문은 필리핀의 행정 구역입니다.

수도메트로 마닐라이며 현 필리핀의 행정구역상 수도를 마닐라라 불리우지만 이는 메트로 마닐라를 뜻하는 것이다. 현 필리핀의 수도는 퀘존시티이다.

 

주민

주민은 말레이계가 대부분(전체의95% 정도)이다. 그 외 중국계인도계, 혼혈, 미국인, 에스파냐인 등이 있다.

 

 언어

이 부분의 본문은 필리핀의 언어현황입니다.

국어타갈로그어, 공용어는 타갈로그어와 영어이지만, 모국어로 사용되는 언어는 합계 172개에 이른다. 이것들은 모두 오스트로네시아어족으로 분류되지만 거의 의사 소통을 할 수 없을 정도로 차이가 있다. 그 밖에 사용되는 언어에는 중국어(베이징어푸젠어), 에스파냐 식민지 시절의 에스파냐어크레올어, 이슬람교도 사이에 사용되는 아랍어가 있다.

 

종교

종교는 로마 가톨릭가 83%, 개신교가 9%, 이슬람교가 5%, 불교가 3%이며, 필리핀 성공회도 존재한다. 필리핀 성공회대한 성공회와 교류하는등 활발한 기독교 활동을 하고 있다. 필리핀 이슬람은 민다나오 섬에 많이 존재하는데, 이는 에스파냐 식민지 시절 가톨릭 신자에 대한 이주정책으로 이슬람교도들이 살 곳이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에스파냐의 식민지가 되기 전에는 정령신앙등의 토착 종교가 있었으나 식민지가 된 이후에는 없어졌다고 전해진다. 이 나라는 동남아시아에서는 유일하게 로마 가톨릭이 우세한 기독교 국가이며, 헌법으로 종교의 자유를 인정한다. 그래서 선교학자들은 필리핀을 동남아시아 선교를 위한 섬돌로 분석한다.

 

군대

현역은 지원제이며 예비군은 대졸자에 한해 의무이다.

 

 치안

이 나라는 미국처럼 총기소지가 가능한 나라이다. 그러나 총기소지의 대한 마땅한 조취가 취해지지 않아 어린이들도 일반 총포점에서 탄약을 구입할 수 있다. 총포점은 일반 쇼핑몰에서도 볼수 있을정도로 많다. 가격도 비싸지 않아서 더욱 위헙하다.

잘 알려진 도시의 경우 경찰들이 순찰을 돌거나 사람들의 생각 수준등이 높아 범죄율이 낮으나 시골같은곳으로 들어가면 거지들도 볼 수 있고 (물론 도시에도 있다) 총을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종종 보이기도 한다.

 

 교육

필리핀은 대한민국처럼 학부모들의 교육열이 높은 국가이다. 아시아 최초의 대학인 세인트 토마스 대학교등의 명성있는 대학교들을 갖고 있다. 하지만 가난한 집에서는 교육은 커녕, 어린이들이 거리에서 구걸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농업

이 나라는 바나나를 생산하며 수출한다. 이 외에도 수많은 열대과일을 생산 및 수출한다. 그 예로 망고를 들수있다 세계적으로 세부망고는 그 당도가 우수하여 잘 알려진 과일이다. 또한 코코넛을 이용한 제품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쌀은 유명 관광지 이기도한 바나웨 지역이 필리핀의 쌀 특산품 으로 생산 되고 있는데 쌀의 색이 갈색 혹은 암갈색 으로 나타나며 유기농 으로 생산이 되고 있다.

 

 문화

에스파냐미국 식민 지배의 영향으로 기독교 문화가 필리핀을 지배하고 있다.

 

 대한 관계

이 나라는 한국 전쟁 때 참전한 16개국 중 하나이며 7, 000명이 전사하였다. 당시 필리핀에서는 참전이유를 "대한민국과 필리핀 공화국이 가까우며, 필리핀 군은 유일하게 공산주의와 싸운 (용병으로서의 가치가 큰)군대"라는 점을 들었다. 현재 필리핀 공화국은 대한민국과는 외교관계를 맺고 있다.

 

주석

  1. 1901년 9월 28일 비사야 제도 사마르섬의 가톨릭 교회와 민중들은 기도시간을 알리는 빌랑기가 교회의 종소리와 함께 섬에 주둔한 미군들을 공격하는 저항운동을 일으켰으나, '섬을 10년간 폐허가 되도록 진압하라'는 주둔군 사령관 휴스 장군의 진압명령으로 실패했으며, 교회의 들은 미군에 의해 미국으로 옮겨진다. 이후 필리핀이 필리핀공화국으로 독립한뒤, 필리핀 정부와 미국정부는 이 문제로 외교마찰이 있었으며, 결국 1997년 필리핀과 와이오밍주가 종을 하나씩 갖는 것으로 협상을 보았다. 하지만 와이오밍 주 의회와 재향군인회의 반대로 이 협상은 실천되지 않고 있다.《우리가 몰랐던 아시아》/아시아네트워크 지음/한겨레 신문사
  2. 필리핀 민주혁명당시 가톨릭교회는 사제들과 수녀들이 추기경의 지도하에 단식투쟁에 참여하였다.《예수의 비폭력저항》/아더 윌크 지음/한국 기독교 연구소